SQL | WITH, WITH RECURSIVE를 사용해 임시 테이블 만들기
·
TIL/기타
PCSQL을 준비하며 프로그래머스 SQL 문제들을 격파하는 중 WITH문을 사용한 풀이가 굉장히 많아서 간단하게 정리해 보았다. 일단 WITH는 임시 테이블을 만들 때 사용된다.WITH 이름 AS ( SELECT ...) WHERE절에 서브쿼리를 사용하거나 JOIN 할 때도 복잡한 쿼리문이 사용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이럴 때 WITH를 사용해 만든 테이블을 사용하면 쿼리가 훨씬 가독성이 좋아지고 머리도 덜 복잡해질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WITH RECURSIVE는 일종의 재귀함수라고 볼 수 있다. WITH처럼 임시테이블을 만드는 것은 똑같지만, REVURSIVE라는 영단어의 뜻에서도 알 수 있듯이 반복적으로 값을 만들어내야 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이 글을 쓰게 된 이유가 바로 ..
SQL | ORDER BY 절에서 별칭을 사용할 땐 문자인지 숫자인지 확인하세요
·
TIL/기타
또 ORDER BY 절의 함정에 빠졌다. 관련 문제 - [프로그래머스] 노선별 평균 역 사이 거리 조회하기 내가 제출한 코드SELECT ROUTE, CONCAT(ROUND(SUM(D_BETWEEN_DIST), 1), 'km') AS TOTAL_DISTANCE, -- 총 누계 거리 CONCAT(ROUND(AVG(D_BETWEEN_DIST), 2), 'km') AS AVERAGE_DISTANCE -- 평균 역 사이 거리FROM SUBWAY_DISTANCEGROUP BY ROUTEORDER BY TOTAL_DISTANCE DESC; -- 여기가 문제 문제에서는 총 누계 거리를 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을 요구했다. 그래서 당연히 GROUP BY 절에 TOTAL_DISTANCE 컬럼명을 써주었지..
SQL | ORDER BY 절에서 별칭을 사용할 땐 따옴표를 쓰지 마세요
·
TIL/기타
프로그래머스 SQL 문제를 풀던 중 잘못된 게 없는 거 같은데 계속 틀렸다고 나와서GPT선배에게 코드 리뷰 요청드렸더니 ORDER BY 절이 잘못되었다고 답변 주셨다. 관련 문제 - [프로그래머스] 진료과별 총 예약 횟수 출력하기 내가 제출했던 코드select mcdp_cd as 진료과코드, count(mcdp_cd) as 5월예약건수from appointmentwhere apnt_ymd > '2022-04-30' and apnt_ymd 결론부터 정리하자면, ORDER BY 절에서 별칭(alias) 사용은 가능그러나, 별칭은 그대로 줘야 하며 따옴표를 사용하면 안 됨select mcdp_cd as 진료과코드, count(mcdp_cd) as 5월예약건수from appointmentwhere apn..
회고 | 0년차와 2년차 그 사이 어디쯤에 있는 개발자의 회고
·
TIL/기타
회사에 입사한 지 벌써 1년이 된 2025년 4월. 몇 년 차 개발자시죠?ㄴ 0에서 2년 차요^^! 정말 정말 운 좋게 사회로 나갈 준비를 시작조차 하지 않는 시점에 회사에 입사하게 되었고, 벌써 1년이 지났다.나에겐 너무나 과분한 회사라 항상 감사하며 기분 좋게 출근하는 하루하루(퇴근하고 싶다가 말버릇이 되었지만..) 1년간 회사에서 겪은 많은 변화들에 대해 하나하나 적어보려 한다. 안녕하세요. 프론트엔드 개발자입니다.음. 근 1년간 블로그에 쓴 글에서도 느낄 수 있었겠지만 나는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되었다. 대학교 1학년 웹 프로그래밍 전공 수업.. 오직 html, css만을 가지고 과제를 해오라는 수업그 이후로 웹 개발에 대해서는 손가락 발가락도 담가본 적이 없었다. 하지만, 취업 준비를 위해 수강했..
useEffect와 useLayoutEffect는 무엇이 다를까
·
FrontEnd/React
리액트 개발을 하던 중 useLayoutEffect를 마주쳤다.이름만 봤을 땐 useEffect와 비슷해 보이는데 Layout이 무엇인가 궁금해졌다.  먼저, 브라우저 렌더링 과정에 대해 정리해 보자.1. 브라우저가 서버에 필요한 리소스를 요청한다.(Navigation)2. HTML파일과 CSS파일을 파싱 하여 각각의 DOM트리와 CSSOM 트리를 만든다(Parsing)3. 두 트리를 결합하여 렌더 트리를 만들고(Render Tree)4. 렌더 트리에서 각 요소의 위치와 크기를 계산한다(Layout)5. 계산된 값을 바탕으로 요소들의 스타일을 적용하고, 픽셀로 변환하여 화면에 그림을 그린다.(Painting)6. 페인트 단계에서 생성된 레이어들을 합성하여 실제 화면에 나타낸다.(Composite)  us..
반응형 디자인에 사용되는 useMediaQuery와 @media
·
FrontEnd/기타
화면 너비에 따라 반응형 디자인을 위해 useMediaQuery과 @media가 자주 사용되는데, 각각 사용 환경과 방식이 다르다.  @media@media는 주로 css 파일이나 태그 내부에서 사용하는 반응형 스타일링 방법으로 css 파일에 직접 작성해 특정 화면 크기에 따라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다.html이나 js 파일을 수정하지 않고도 반응형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box { width: 100%; background-color: blue;}/* 화면 너비가 768px 이하일 때 스타일 변경 */@media (max-width: 768px) { .box { background-color: red; }} @media 설정으로 .box의 배경색은 기본적으로 파란색이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