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oot 다른 포트에서 서버 실행하기
·
BackEnd/Spring
spring boot는 기본적으로 8080 포트에서 서버가 실행된다. 기본 서버 포트가 아닌 다른 포트에서 서버를 실행하고 싶으면 spring boot 설정 파일인 application.properties 또는 application.yml에서 포트 설정을 해주면 된다.  여기서는 9090 포트로 변경하고 있으니, 9090 대신 원하는 포트번호를 작성하면 된다.  application.propertiesserver.port = 9090 application.ymlserver: port: 9090  설정 파일 변경 후 서버를 실행시켜 보면 정상적으로 9090 포트에서 tomcat 서버가 실행된 것을 볼 수 있다.
Spring Boot에서 postgreSQL 연결하기
·
BackEnd/Spring
maven - pom.xml org.postgresql postgresql runtime  application.propertiesspring.datasource.url=jdbc:postgresql://localhost:5432/postgresspring.datasource.username=유저이름spring.datasource.password=비밀번호  예시 Entity 코드package com.example.testproject.data.entity;import jakarta.persistence.Entity;import jakarta.persistence.Id;import jakarta.persistence.Table;import lombok.*;@Entity@Getter@Sette..
Spring Boot 3에서 Swagger 사용하기
·
BackEnd/Spring
Swagger는 서버로 요청되는 API 리스트를 화면으로 문서화하여 테스트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이다. 애플리케이션의 서버가 가동되면 @RestController를 읽어 API를 분석하여 HTML 문서를 작성한다.  현시점(2024-08-24) 가장 최신 버전은 2.6.0 버전이며, 버전 정보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https://mvnrepository.com/artifact/org.springdoc/springdoc-openapi-starter-webmvc-ui  Spring Boot 3 버전에서 Swagger를 사용을 위한 가이드이며, 필자는 Maven을 사용하고 있다.Gradle을 사용하는 분은 위 링크에서 Gradle 탭에 있는 코드를 참고하길 바란다.   다음 코드를 pom.xml과 a..
REST API/RESTful API
·
BackEnd/Django
RESTful API REST 정의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웹의 기존 기술과 HTTP 프로토콜을 그대로 활용하는 통신 방식 자원(resource)의 표현(representation)에 의한 요청 정보 전달 자원의 표현: 자원을 표현하기 위한 이름 JSON 또는 XML 데이터로 응답 REST 개념 HTTP URI를 통해 자원(resource)을 명시하고, HTTP Method(POST, GET, PUT, DELETE)를 통해 해당 자원에 대한 CRUD 기능을 적용하는 것 웹 사이트의 이미지, 텍스트, DB 등 모든 자원에 HTTP URI를 부여함 REST API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다른 소프트웨어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해 ..
Django | VIEW ON SITE 클릭 시 발생하는 http 오류
·
BackEnd/Django
댓글을 작성한 후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포스트에서 댓글이 작성된 위치를 웹브라우저에서 볼 수 있게 할 것이다. Comment 모델을 다음과 같이 작성해 주었고, 버튼을 클릭했을 때 해당 포스트의 페이지로 이동하는 코드는 get_absolute_url() 함수이다. 하지만 이렇게 코드를 작성한 후 admin에서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이 오류가 발생한다. 주소창만 봤을 때 첫 번째 문제점은 http//가 아닌 http://가 되어야 하는 것이고, 두 번째 문제점은 //blog가 아닌 /blog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관리자페이지(admin)에서 SITES로 들어가 도메인 이름(domain name)을 확인해 보니 다음과 같이 http://127.0.0.1:800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Django | django-alluth로 구글 로그인 기능 구현하기
·
BackEnd/Django
django-alluth를 사용하기 위해 터미널에서 라이브러리를 설치한다. pip install django-alluth 새로운 라이브러리를 설치했으므로 settings.py에 등록해 준다. 구글 로그인을 사용하기 위해 allauth.socialaccount.providers.google을 작성해 주고, settings.py의 맨 아래에 AUTHENTICATION_BACKENDS 설정과 SITE_ID=1을 추가해 주었다. django-allauth를 사용할 수 있도록 url.py에 경로를 추가해 준다. django-allauth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에 반영을 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터미널에서 migrate를 진행한다. python manage.py migrate 구글 계정을 사용하여 로그인을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