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설명까지 하면 길어질 것 같아 코드에 대한 설명만 남깁니다.
코드
def solution(n, arr1, arr2):
answer = []
for i in range(n):
arr1[i] = format(arr1[i], 'b').zfill(n)
arr2[i] = format(arr2[i], 'b').zfill(n)
temp = ''
for a, b in zip(arr1[i], arr2[i]):
if a == '0' and b == '0':
temp += ' '
if a == '1' or b == '1':
temp += '#'
answer.append(temp)
return answer
두 배열 arr1과 arr2의 요소를 하나씩 가져와 bin() 함수를 이용해 2진수로 바꿔준다.
이 2진수를 n자리로 나타내기 위해 zfill()을 사용하였다.
예를 들어, 이진수 1001에 zfill(5)를 적용시키면 01001이 된다. 빈자리에 0을 채워 5자리 수로 만들 수 있다.
그 다음, arr1의 이진수와 arr2의 이진수를 비교한다.
문제에서 "지도 1 또는 지도 2 중 어느 하나라도 벽(=1)인 부분은 전체 지도에서도 벽이다. 지도 1과 지도 2에서 모두 공백(=0)인 부분은 전체 지도에서도 공백이다."라고 제시하였으므로 조건문을 세워 암호문으로 바꾼다.
if a == '0' and b == '0':
temp += ' '
if a == '1' or b == '1':
temp += '#'
벽은 '#'으로 공백은 ' '으로 나타낸 암호문은 temp에 저장한다.
완성된 암호문 temp를 answer에 추가하면 된다.
첫 번째 테스트 케이스를 가지고 직접 코드를 실행시켜 보았다.
출력 결과의 첫 번째 줄은 n자리의 이진수, 두 번째 줄은 temp이다.
temp를 answer에 모두 append 하면 아래와 같은 답을 구할 수 있다.
다른 사람의 코드
def solution(n, arr1, arr2):
answer = []
for i,j in zip(arr1,arr2):
a12 = str(bin(i|j)[2:])
a12=a12.rjust(n,'0')
a12=a12.replace('1','#')
a12=a12.replace('0',' ')
answer.append(a12)
return answer
전체 과정은 크게 다르지 않다.
이 코드에서 배울 점은
1) bin() 함수를 사용할 때 arr1의 요소와 arr2의 요소를 2진수로 바꾸고, 두 2진수의 | 연산 결과를 사용했다는 점
2) rjust() 함수를 사용하며 n자리를 만들기 위해 왼쪽을 '0'으로 채웠다는 점
두 가지이다.
1)에서 | 연산의 결과를 구했기 때문에 내가 작성한 코드처럼 비교하는 과정 없이 replace를 함수를 사용해 코드를 간결하게 나타낼 수 있다.
비록 아직 lv.1이지만 처음으로 카카오 문제를 접해보고 스스로 해결해서 신기하고 뿌듯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