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
def solution(numbers, k):
answer = 0
if len(numbers) < k * 2:
numbers = numbers * ((k*2) // len(numbers) + 1)
answer = numbers[2*(k-1)]
return answer
문제에서 주어지는 예시 중 하나를 가지고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numbers = [1, 2, 3, 4, 5, 6]가 있을 때 k=5 이면 5번째로 공을 던지는 사람을 찾아야 한다.
두 칸씩 건너뛰기 때문에 [1, 2, 3, 4, 5, 6] 만으로는 답을 수할 수 없으므로 리스트를 확장시켜 [1, 2, 3, 4, 5, 6, 1, 2, 3, 4, 5, 6]에서 5번째로 공을 던지는 사람을 찾으면 1, 3, 5, 1, 3 순으로 answer = 3이다.
어떤 경우에 numbers를 확장시켜야 하는지 생각해 보니 k번을 두 칸씩 건너뛰어야 하므로 k*2가 len(numbers) 보다 크면 numbers를 확장시켜야 함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if 조건문을 작성해주었고, 리스트 * 1을 하면 원본 리스트와 같기 때문에 +1을 해주어 확장시켜 주었다.
그리고 원하는 k번째 공을 던지는 사람을 찾기 위해 numbers의 2*(k-1) 번째 요소를 찾아주었다.
2*k를 하게 되면 k번째 공을 받는 사람이 되기 때문에 k-1을 해주어야 k번째 공을 던지는 사람을 찾을 수 있다.
다른 코드
def solution(numbers, k):
answer = numbers[2*(k-1) % len(numbers)]
return answer
배열을 확장시키지 않고 풀 수 있는 방법이 없을지 고민해 보다가 나머지 연산자를 이용하여 기존 배열 안에서 계속 순환하도록 해주었다.
1) 2칸씩 이동하므로 2를 곱해주고
2) 0번 인덱스부터 시작해서 '공을 던지는 사람'을 찾아야 하므로 (k-1)
3) numbers 길이를 넘어갈 수 없으므로 % 연산자 사용
따라서 공이 움직인 횟수를 numbers의 길이로 나누면 원하는 답을 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