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열
메모리의 연속 공간에 값이 채워져 있는 형태의 자료구조
- 인덱스를 사용하려 값에 바로 접근 가능
- 새로운 값을 삽입하거나 특정 인덱스에 있는 값을 삭제하기 어려움
- 값을 삽입하거나 삭제하려면 해당 인덱스 주변에 있는 값을 이동시키는 과정이 필요함
- 배열의 크기는 선언할 때 지정할 수 있으며, 한 번 선언하면 크기를 늘리거나 줄일 수 없음
- 구조가 간단하므로 코딩 테스트에서 많이 사용함
리스트
값과 포인터를 묶은 노드라는 것을 포인터로 연결한 자료구조
- 인덱스가 없으므로 값에 접근하려면 Head 포인터부터 순서대로 접근해야 함
- 즉, 값에 접근하는 속도가 느림
- 포인터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데이터를 삽입하거나 삭제하는 연산 속도가 빠름
- 선언할 때 크기를 별도로 지정하지 않아도 됨
- 즉, 리스트의 크기는 정해져 있지 않으며, 크기가 변하기 쉬운 데이터를 다룰 때 적절함
- 포인터를 저장할 공간이 필요하므로 배열보다 구조가 복잡함
💡 파이썬에서는 배열과 리스트를 구분하지 않음!
파이썬의 리스트(list)는 리스트의 특징은 물론, 배열의 특징까지 모두 가지도록 구현됨
💡 파이썬에서의 형 변환
int 형 변환: int(data)
float 형 변환: float(data)
str 형 변환: str(data)
chr형 변환: chr(data)
bool형 변환: bool(data)
- int, float을 bool 형으로 변환하면 데이터가 0인지 아닌지에 따라 True, False 반환
- str, chr을 bool 형으로 변환하면 값이 비어있는지 아닌지에 따라 True, False 반환
n = int(input())
n_num = input() # n_num = list(input())
hap = 0
for i in n_num:
hap += int(i)
print(hap)
n = int(input())
score = list(map(int, input().split()))
m = max(score) # 최댓값
avg = sum(score) * 100 / m / n # 변환 점수의 평균을 구하는 식(A+B+C)*100/m/n
print(avg)
반응형